자동방화셔터 썸네일형 리스트형 [소방법규]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및 정상관리 미이행시 과태료 (feat.방화문 설치기준과 예외기준) #2019년 11월 7일 개정(전층 방화구획) 소방법규와 관련된 중요한 건축개념으로는 '방화구획'이라는 것이 있습니다.불이 났을 때 건물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가두어 둘 수 있는 구역을 나누는 것을 뜻합니다. 방화구획의 정의방화구획 [ fire partition , 防火區劃 ] 큰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건축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내화구조의 바닥·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으로 만들어지는 구획을 말한다. [네이버 지식백과] 방화구획 [fire partition, 防火區劃] (두산백과) 방화구획의 설치대상-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000㎡ 넘는 것 방화구획은 층단위 및 면적단위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.특이점은 스프링클러와 같은 자동식 소화설비가 있을 경우기본 면적의 3배로 완화가 된다는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