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소방점검은 사고예방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중요하다고 해서 절차없이 무조건 점검을 실시하면 될까요?
그렇게 하면...
큰일납니다 !
소방설비는 평상시에 언제든지
작동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
잘못 건드렸다가는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.
실제로 그런 사고가
뉴스에 보도되기도 했습니다.
안타까운 점은
책임소재로 시간이 흐르는 동안
정신적,물질적 피해와 고통은 거주자 분들이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.
다시는 이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.
스프링클러 점검방법 자료 ↓
[소방설비] 스프링클러설비 종류 및 점검방법, 한방에 이해하기 ! (습식,건식,준비작동식,일제살
*습식 : 1차측, 2차측 가압수*건식 : 동파방지 but 방출지연(압축공기)*준비작동식 : 동파방지 & 방출지연 해결(대기압) - 인위적으로 잠금장치(솔레노이드밸브)를 설치함 - 감지기에 의해 개방*일
gohomefire.tistory.com
반응형
SMALL
'▣ 안전정보 > 소방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소방설비] 주차장에는 왜 스프링클러 헤드 방향이 위를 향하고 있을까? (상향식헤드) (0) | 2025.02.02 |
---|---|
소방계획서 보관기간 2년 법적 근거 (0) | 2024.12.02 |
[소방법규] 방화문 불량관리 적발시 과태료 (0) | 2024.10.31 |
[소방법규] 방화구획의 설치기준 및 정상관리 미이행시 과태료 (feat.방화문 설치기준과 예외기준) #2019년 11월 7일 개정(전층 방화구획) (2) | 2024.10.30 |
산불방지 처벌규정 (0) | 2024.10.05 |